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ROOM 1

3. 안전과 인간공학 본문

학부/2019 안전 의식 (2019-2)

3. 안전과 인간공학

일실 2019. 12. 7. 21:50

 


 

실험실 재해의 65% 이상이 인간공학적 설계의 미비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이라고 한다. 실험실은 부적절한 높이의 흄 후드, 반복적인 피펫팅, 장시간 정적인 자세 유지 등으로 인해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손목터널증후군 등의 질환을 얻기 쉬운 환경이다.

 

인간공학

Ergonomics: 작업자의 신체적 특징, 행동의 제약조건을 고려한 설계. 물리적인 요소가 중점적이다.

Human Factors: 작업자의 인지적 요소에 중점을 둔 설계. ex) 비상벨은 인간의 주의를 최대한으로 끌기 위해 시각/청각 정보를 같이 제공한다.

인간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인간공학적 설계로 Human Error와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Human Error: 인간이 이상적인 정확도, 순서, 시간 한계를 지키지 못해서 생겨나는 불완전성. 지식의 결여, 의욕의 결여, 윤리의 결여, 지나친 피로 등의 원인으로 일어난다.

 

 

직무 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는 생산성을 저하할 뿐 아니라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물리적 환경: 시약 등 화학물질 노출, 방사성, 조명, 온도, 부적절한 작업환경
직무 관련 요인: 직무특성, 시간 등
경력개발 요인: 경력, 승진, 이상과의 괴리 등
대인관계 요인: 동료, 상사, 부하와의 관계
집단수준요인: 응집성, 지위부조화 등
조직수준요인: 사내정치 등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 관련 요인

반복성: 동일한 유형의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 (피펫팅, 타이핑 등) 반복성은 근골격계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이다! > 관리적 개선 방안으로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가지는 것, 공동작업자와 작업을 번갈아서 하는 것(작업순환)이 도입될 수 있다.

부자연스러운 자세: 각 신체 부위가 취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벗어난, 자연스럽지 못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될 경우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물리적인) 인간공학적 설계로 개선할 수 있다. 공학적 해결책으로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접촉 스트레스: 특정 신체부위가 지속적으로 눌리거나 자극을 받는 것.

진동: 지속적으로 전신 혹은 특정 신체부위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