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M 1
EndNote 인용 형식 - 저널 약어 본문
다들 알고 있는 사실이겠지만, 저널마다 citation 포맷이 다르다. 따라서 우리는 엔드노트를 써야 한다. 꼭. 반드시.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은 무조건 자동화하고 컴퓨터에게 맡기자는 것이 내 신조이다. 노가다는 반드시 실수를 불러오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저널명을 약어로 쓰길 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널의 풀네임이 Advanced Material이라면, 이것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Adv. Mat. 라고 써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엔드노트는 full name과 abbreviation 간 상호 변환을 지원한다. 적합한 스타일을 고르고, citation을 업데이트하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 영... 한방에 팍! 하고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제법 많다.
원인은 간단하다. 엔드노트 파일에 journal term list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아래는 공식 홈페이지 매뉴얼인데, 그냥 하라는 대로 하면 된다. 설정 들어가서 이렇게저렇게 해서 원하는 분야의 journal term list를 넣어주면 해결되는 문제이다.
문제는 하라는 대로 해도 제대로 적용이 안 된다는 것이다. 엔드노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저널 term list에는... 물론 대부분의 저널이 수록되어 있지만, 리스트에 없는 저널도 많다. 특히 최근에 생긴 저널. last updated term list라고 해 놓고 수정한 날짜를 보면 2011년 2013년 이렇던데 뭘... 모르긴 몰라도 그 사이에 저 하늘의 별만큼이나 많은 저널이 생겼을 것이다. 보다 보면 꽤 유명한 저널도 없고 막.
Endnote에 논문을 추가할 때마다 이 저널이 리스트에 있는지 매번 확인해 주는 게 편하다. 저널명이 빨갛게 보이면 그건 리스트에 없는 저널이니까 신속히 등록해야 하고. 물론 그걸로 끝은 아니다. 추후 원고 작성시 워드 파일에서 참고문헌 문단을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저널명이 형식에 맞지 않는다면 확인을 깜빡했든 오류가 났든 해서 그 저널이 리스트에 없다는 뜻이거나, 리스트상에서 뭔가 꼬였다는 뜻이다. 똑같은 저널이 두세 번씩중복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주로 이렇다.
위 이미지를 보면, Chemical Speciation and Bioavailability가 두 번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엔드노트는 저 논문이 reference로 들어왔을 때 어떻게 줄여야 할지 모른다. 그럼 그냥 full journal name을 뱉어내는 거다. 아래의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도 마찬가지다. 둘 중 하나를 삭제해 주어야 제대로 형식 변환이 가능하다.
보통 이런 경우는 아무 생각 없이 Chemical, Medicine, Physics journal term list를 마구잡이로 갖다넣다가 생기는 것 같다. 특히 화학-생화학 분야에서....... 웬만하면 journal term list는 하나만 등록하도록 하자. 중복되는 거 하나하나 지우기 굉장히 귀찮다. Ctrl+F가 안 먹히다 보니까 특히 더.
없는 저널 등록이 중복 저널 삭제보다는 좀 덜 귀찮은 것 같다. 저널명이야 긁어다 붙이면 되는 거고, 약어도 뭐... 검색한 다음 긁어다 붙이면 그만이니까. 아래는 저널 약어 검색 사이트다. 구글링이 편하면 구글링으로 해도 될 것 같긴 하지만 일단 나는 여기가 편하다. 남의 대학이긴 해도 어쨌든 대학 공인 사이트니까 뭔가 신뢰성있고....
https://woodward.library.ubc.ca/research-help/journal-abbreviations/
아무튼 그렇다. 노가다를 피하기 위해 자동화 공정을 배우는데... 배우는 과정이 노가다인 느낌. 뭐 인생이 다 그렇지....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과고생활 추억팔이 (1) | 2024.05.02 |
---|---|
논문 작성 팁 (0) | 2022.10.23 |